워렌 버핏도 물려있지만 절대 팔지 않고 홀딩 중인 주식, 배당주가 이래서 매력적이다

워렌 버핏이 절대 팔지 않고 계속 홀딩하 있는 주식, 크래프트 하인즈

많은 투자자들이 워렌 버핏의 투자 행보를 주목합니다. 단기적인 시장 변동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기업의 본질적인 가치와 장기적인 잠재력을 보고 투자하는 그의 철학은 수많은 성공 사례로 증명되었습니다. 그런데 버핏이 한때 '실패한 투자'라고 인정하면서도 여전히 포트폴리오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종목이 있습니다. 바로 **크래프트 하인즈(Kraft Heinz)**입니다. 버핏의 매입가는 주당 약 60$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언뜻 보면 손실을 보고 있는 종목을 왜 계속 보유하고 있을까 의아할 수 있지만, 여기에는 버핏의 깊은 투자 안목과 배당주의 매력이 숨어 있습니다.

 

일상 속 깊숙이 자리 잡은 브랜드

크래프트 하인즈의 가장 큰 강점은 우리 일상에 스며든 브랜드들입니다. 케첩=하인즈 라는 말도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는 더욱 크게 와닿는 말일 겁니다. 하인즈 케첩은 워렌 버핏이 60년간 자신의 식탁에서 사용했다고 말할 정도로 미국인들의 생활 습관에 깊이 뿌리내린 브랜드입니다. 크래프트 치즈, 맥스웰 하우스 커피 등도 마찬가지로 소비자들의 일상에서 쉽게 포기하기 어려운 필수품들입니다.

 

이런 브랜드들의 힘은 단순한 인지도를 넘어섭니다. 소비자들은 습관적으로 이들 제품을 선택하고, 이는 기업에게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수요를 보장해줍니다. 경기가 좋든 나쁘든 해외에서는 여전히 케첩을 사용하고, 치즈를 먹고, 커피를 마시니까요.

 

배당주로서의 매력, 그리고 경기 방어주

크래프트 하인즈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배당입니다. 회사는 오랜 기간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해왔고, 현재도 시장 평균 대비 높은 배당수익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 합병된 이후로 2025년 지금까지 10년간 꾸준히 분기마다 배당금을 지급을 해온 회사입니다. 2019년에는 분기별 배당금을 0.625$ > 0.4$로 낮아졌기는 했지만 6년동안 꾸준히 분기별로 배당금을 지불해왔습니다. 또한  배당 지급 능력이 현재 크래프트 하인즈는 충분한 순이익과 잉여현금흐름으로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2025년 5월 자료에 따르면, 지난 12개월간 주당 순이익이 연간 배당금(주당 1.60달러)보다 높고, 잉여현금흐름도 배당금 지급액을 충분히 충당하고 있습니다. 배당 성향은 약 73% 수준으로 건강한 편에 속합니다. 특히 배당주 경우는 배당률을 보는것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꾸준히 준 회사인지도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지난 3년간 순부채를 7.9% 감소시키는 등 부채 감축 노력을 보여주고 있어, 자본 배분 유연성을 높이고 배당 안정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식품 사업의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은 이런 배당 지급을 뒷받침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주가가 단기적으로 하락해도 배당금을 통해 꾸준한 현금 흐름을 얻을 수 있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의 실적 개선이나 경영 효율화를 통해 향후 배당금이 증가할 가능성도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식품 산업의 매력은 경기 방어적 특성에 있습니다. 경제가 어려워져도 사람들은 먹는 것을 포기할 수 없으니까요. 크래프트 하인즈는 여러 필수 식품 카테고리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어, 불황 시에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런 특성은 투자자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주식 시장이 출렁거려도 기본적인 사업 기반이 튼튼하다는 믿음을 갖게 한다는 매우 큰 장점이 있습니다.

 

버핏이 보는 '해자'의 힘

워렌 버핏이 크래프트 하인즈를 계속 보유하는 이유를 이해하려면 그의 투자 철학을 알아야 합니다. 버핏은 기업의 '해자(Moat)'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해자란 경쟁자들이 쉽게 침범할 수 없는 기업만의 독점적 경쟁 우위를 말합니다.

크래프트 하인즈는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 광범위한 유통망, 그리고 소비자 습관에 기반한 꾸준한 수요라는 든든한 해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록 하인즈의 초기 투자 시점에서 여러 문제가 있었지만, 버핏은 여전히 이 기업의 본질적인 경쟁력을 믿고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버핏은 기업의 가치 대비 주가가 저평가되었을 때를 기회로 봅니다. 크래프트 하인즈의 주가가 부진했던 시기는 오히려 본질 가치에 비해 합리적인 가격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였을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시장의 비관론에 흔들리지 않고 기업의 내재 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인내심, 이것이 바로 버핏 투자의 핵심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크래프튼 하인즈 매수 타점일까?

최근 3개년 핵심 재무 개요 (단위: 백만 USD)

구분 2022 2023 2024 특징
매출 (Net Sales) 26,485 26,640 25,846 물가·환율 영향으로 2024년 -3.0 % 감소
영업이익 (Operating Income) 3,634 4,572 1,683 2024년 대규모 Goodwill·무형자산 손상(3.7 B$) 반영
순이익 (Net Income) 2,368 2,846 2,746 손상 차감 후에도 순이익 방어
영업활동 CF 2,469 3,976 4,184 재고·외상매출 관리로 현금흐름 개선

부채 지표 요약 (단위: 백만 USD)

항목 2022 2023 2024 YoY (’24 vs ’23)
유동부채 (Current Liabilities) 9,028  8,037  7,253 -9.8 %
장기차입금 (Non-current Debt) 19,233 19,394  19,215  -0.9 %
총부채 (Total Liabilities) 41,643  40,617  38,962 -4.1 %
부채/자본비율 (Debt-to-Equity)¹ 0.85× 0.82× 0.79× ↓ 안정적

물론 워렌 버핏의 투자를 무조건 따라가기보다는 스스로 분석하고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크래프트 하인즈 투자를 고려한다면 다음과 같은 점들을 신중히 살펴봐야 합니다.

 

먼저 리스크 요소들입니다. 크래프트 하인즈는 3년간 부채를 줄여왔지만 여전히 상당한 부채를 안고 있고, 최근 소비 트렌드의 변화도 주목해야 합니다. 건강 지향적 소비가 늘어나고 로컬 푸드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전통적인 가공식품 브랜드들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치열한 경쟁 환경도 장기적인 성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입니다.

 

적정 매수 타이밍도 중요합니다. 아무리 좋은 주식이라도 비싸게 사면 수익률이 낮아지니까요. 기업의 실적, 산업 동향, 거시 경제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매수 시점을 결정해야 합니다. 개인적인 관점으로는 현재 하인즈는 그렇게까지 비싼 주가는 아니라고 판단이 되긴 합니다.

 

하지만 특정 종목에 과도하게 집중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감수 수준에 맞춰 적절한 비중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현재 배당금만 보고 간다면 코카콜라보다 조금 더 매력적이긴 합니다. 

 

결론 : 가치 투자와 배당 투자의 교훈

워렌 버핏의 크래프트 하인즈 투자는 단순한 주식 투자를 넘어 가치 투자와 배당 투자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보여줍니다. 기업의 본질적인 가치를 믿고, 인내심을 가지고 장기적으로 투자하며, 꾸준한 배당을 통해 복리 효과를 누리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우리나라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빠른 수익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어서, 이런 변동성이 크지 않은 방어주에는 큰 관심이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 시장의 단기적인 변동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과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보고 투자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계영배 잔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욕심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단기간에 큰 수익을 올리는 것도 분명 매력적이지만, 일반 투자자들에게는 꾸준하고 안정적으로 자산을 늘려가는 방식이 더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접근법일 수 있습니다.

 

크래프트 하인즈 같은 배당주는 화려하지 않을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진가를 발휘하는 투자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모든 투자에는 리스크가 따르니, 충분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워렌 버핏, 찰리 멍거, 피터 린치 등 위대한 투자자들이 선택한 다른 종목들도 하나씩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다음 글에서 또 뵙겠습니다.

* 모든 종목은 매수 매도를 추천드리지 않으며 투자는 본인 책임하에 있습니다.
* DS에서 쓴 글은 모두 제가 공부한 주관적인 내용이 많이 들어간 글입니다.
* 이 글이 유용하셨다면 공감과 구독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