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로 간 네이버, 그들의 ‘다음 AI엔진’은 무엇일까?
2025년 상반기, 스타트업 업계에서 조용히 그러나 의미심장한 뉴스가 하나 흘러나왔습니다. 네이버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벤처투자 법인을 설립하고, 첫 투자로 멀티모달 AI 스타트업 ‘Twelve Labs’를 선택했다는 소식이었죠. 사람들이 주목하지 않는 사이, 네이버는 AI 패권 경쟁의 ‘프론트라인’으로 자리를 옮기고 있었습니다.
예전이라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처럼 전통적인 미국 빅테크만의 전유물로 여겨졌을 움직임입니다. 하지만 저는 이 지점에서 오히려 궁금점이 생겼습니다. “왜 네이버는 지금, 실리콘밸리에서 새로운 ‘CVC’를 시작했을까?”
NAVER Ventures, 무엇이 다른가?
2025년 6월, 네이버는 미국 캘리포니아 팔로알토에 ‘NAVER Ventures’를 설립합니다. 표면적으로는 기업형 벤처캐피털(CVC)입니다. 하지만 그 작동 방식과 전략을 들여다보면, 단순한 투자법인이 아니라는 점이 분명해집니다.
핵심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 내용 |
설립 이유 | AI 글로벌 경쟁 심화 + 실리콘밸리 딜 파이프라인 실시간 확보 |
투자 전략 | 시리즈 A부터 Growth 단계까지 유연하게 참여, Equity 규모는 비공개 |
주요 테마 | 생성형 AI, 멀티모달 AI, 로보틱스, 물류 자동화, 핀테크 |
첫 투자 | Twelve Labs – 비디오 검색 멀티모달 AI 스타트업 |
내부 시너지 | HyperCLOVA X, ZEPETO, Webtoon 등 글로벌 자산과 연계 |
전략 방식 | ‘현장 스카우팅 + 전략적 지분’ + 네이버 인프라 패키지형 협업 |
즉, 단순히 수익률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 검증 → 사업 연동 → JV 또는 M&A로 이어지는 ‘전략적 밸류체인’을 갖춘 구조입니다.
NAVER D2SF와의 역할 분담
네이버 내부에는 이미 ‘D2SF’라는 초기 스타트업 투자 조직이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굳이 실리콘밸리에 별도 CVC를 둔 이유는 명확합니다.
- D2SF: 국내 중심의 시드~Pre-A 단계 기술 검증
- NAVER Ventures: 북미 중심의 시리즈 A 이상 스케일업
이는 ‘기술 싹수는 한국에서, 스케일은 미국에서’라는 투트랙 전략을 의미합니다. 결과적으로 NAVER는 한국~미국을 잇는 ‘AI 스타트업 스케일업 루트’를 구축하고 있는 셈입니다.
네이버 벤처스 대표 김남선, 그는 누구인가?
이 CVC의 키를 쥐고 있는 인물은 김남선 대표. NAVER CFO이자 전략투자의 중심 인물이기도 하죠. 그의 이력은 다행히도 AI에 관련된 M&A 전문가 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Harvard Law 출신, Cravath와 Lazard 등 미국 내 IB 출신
- Morgan Stanley에서 글로벌 M&A 주도
- Macquarie Korea PE 총괄 후 NAVER로 영입
- Poshmark 인수, Webtoon IPO 등 직접 지휘
- 2025년부터 NAVER Ventures 대표로 실리콘밸리 상주
그는 말 그대로 ‘IB–PE–전략–재무’를 두루 경험한 풀스택 전문가입니다. 네이버가 그를 실리콘밸리로 보낸 것은, 단순한 투자만이 아닌 전략적 판짜기가 목적이었음을 보여줍니다.
단순히 정부 수혜를 타서 주가를 올리기 위한 행동은 아닌 것으로 파악됩니다.
지금까지 인수한 기업은?
많은분들이 궁금한 점은 아무래도
“그럼 이미 인수한 기업이 있느냐?”
현재까지 네이버 벤처스가 인수(50% 초과 또는 100% 지분 확보)한 사례는 없습니다. 다만 중요한 점은, 이들이 처음부터 ‘빅딜’ M&A를 목적으로 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첫 투자처는 있습니다. 바로 영상 이해 기반 멀티모달 AI스타트업인 트웰브랩스라는 기업입니다.
https://www.mk.co.kr/economy/view.php?sc=50000001&year=2025&no=407848
실리콘밸리에 자리잡은 ‘네이버 벤처스’…첫 투자처는 ‘이곳’
네이버가 실리콘밸리에 해외투자법인 ‘네이버 벤처스’를 설립한다. 글로벌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실리콘밸리에서 경쟁력을 갖춘 투자처를 발굴하기 위해서다. 첫 투자처로는 영상 이해 기반
www.mk.co.kr
트웰브랩스(Twelve Labs) 는 어떤 기업인지?
2020년 3월, 샌프란시스코와 서울 두 거점에서 동시에 출범한 기업입니다. 직원 수는 40명 남짓. 대형 연구조직 대신 ‘작지만 날렵한 멀티모달 연구집단’을 지향하며. 목표는 단순합니다. “세상의 모든 영상을 검색 가능하게”
시드·프리A를 거쳐 2024~2025년 Series A로만 1억 달러 이상을 확보한 기업이기도 합니다. NVentures·Intel Capital, NEA·Index Ventures 등이 참여했고. 소프트웨어 플랫폼형 스타트업 기준, 드문 규모다. 투자자들은 “비디오 AI의 픽앤쇼벨”이라 평가되는 기업입니다.
* 픽엔쇼벨 : 19세기 골드러시 당시 금을 찾던 이들보다 곡괭이(Picks)와 삽(Shovels)을 팔던 가게들이 오히려 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수익을 올렸음에 주목한 투자전략
기술 스택—Marengo ↔ Pegasus 듀오
- Marengo: 텍스트·이미지·오디오·영상까지 한 번에 임베딩한다. “어디서–어디로” 범위를 문장 하나로 지정하고 바로 클립을 얻는다.
- Pegasus: 최대 1 시간짜리 영상도 요약·QA·타임라인 분석을 실시간에 가깝게 처리한다.
두 모델은 AWS Bedrock에 기본 탑재되며, Snowflake QuickStart에서도 버튼 한 번이면 호출되며,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쓰는 기업이 바로 붙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Search–Analyze–Embed’ 3단 제품 구조
제품 | 핵심 기능 | 공급 방식 |
Search API | 자연어·복합 쿼리 기반 초고속 장면 탐색 | REST API / SDK |
Analyze | 요약·질문응답·자동 타임라인 | 클라우드 (멀티 리전) |
Embed | 사내 데이터 파인튜닝용 임베딩 추출 | SaaS / Private Cloud |
실전 고객—스포츠·방송·리서치
- NFL: 경기 아카이브를 초 단위로 태그해 하이라이트 패키징 시간을 ‘시간→초’로 단축했습니다
- MLSE(토론토 랩터스·메이플리프스): AWS Bedrock + Twelve Labs 조합으로 텍스트 기반 하이라이트 편집기 구축, 경기당 로그 작업 98 % 절감.
- CineSys / eMAM: 북미 방송사 MAM·DAM 솔루션에 비디오 AI 검색 모듈로 탑재.
- MindProber: 시청자 생체데이터와 영상 콘텐츠를 멀티모달로 교차 분석해 광고 효과를 정량화.
공개되지 않은 NDA 계약(보안, 리테일, 온라인 교육 등)도 늘고 있다. 개발자 계정만 3만 + 사용 중이라는 점이 흥미로운 기업입니다.
이 기업을 단순하게 말하면 영상 데이터를 뽑아내어 벡터(임베딩)을 해주는 업체라고 보시면 되는데, 현재 대형 LLM인 하이퍼 클로바의 단점인 데이터 부족을 소폭이나마 빠르고 정확하게 보강할 수 있는 퍼즐 조각이 될 수 있겠습니다.
* 벡터 임베딩 : 문자, 이미지, 영상 등을 컴퓨터가 이해하기 쉽게 숫자 배열로 바꾼 것을 뜻함
개인적인 결론 : 네이버 벤처스는 단순히 주가 올리기 위한 용도는 아니다
NAVER Ventures는 단순한 투자회사가 아닙니다. 그것은 AI 전환기에 접어든 네이버가 선택한 실리콘밸리 전진기지이며, 향후 네이버 본사의 글로벌 인수·기술 연계의 탐색망이자 촉수 역할을 합니다.
앞으로 이 조직은 미국에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네이버의 콘텐츠·클라우드·AI 자산과 연결해 협업을 추진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검증된 기업들은 언젠가 다시, NAVER라는 본선 무대에 서게 되겠죠.
다양성을 내세운 이 전략이 ‘현명한 분산 투자’가 될지, 혹은 ‘과잉 다각화’로 끝날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다만 한 가지는 분명합니다.
네이버는 이미 AI 전쟁의 중심지에서, 조용히 그러나 본격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요
여기까지 네이버 벤처스에 관련된 글이였습니다.
다음은 네이버페이가 프리 IPO로 상장될 수 있다는 찌라시가 많은데, 한번 정리해서 빠른시일 내로 글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25년 1분기 실적 분석, 하정우 AI 수석에 따른 네이버 영향은?
네이버 정책수혜주가 되다 : 첫 AI 수석에 하정우 발탁https://zdnet.co.kr/view/?no=20250615131726 이재명 대통령, 첫 AI 수석에 하정우 발탁…100조 시대 연다이재명 대통령이 초대 인공지능(AI) 수석으로 하
dgds.co.kr
* 모든 종목은 매수 매도를 추천드리지 않으며 투자는 본인 책임하에 있습니다.
* DS에서 쓴 글은 모두 제가 공부한 주관적인 내용이 많이 들어간 글입니다.
* 이 글이 유용하셨다면 공감과 구독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국내 주식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보적인 LG의 EXAONE AI, LG AI 관련 종목은? (0) | 2025.07.03 |
---|---|
네이버 25년 1분기 실적 분석, 하정우 AI 수석에 따른 네이버 영향은? (0)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