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당제약 지분 증여와 주가 전망 분석
https://news.nate.com/view/20250626n13619
윤대인 삼천당제약 회장, 보유 지분 전량 장녀·사위에 증여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경제 - 뉴스 : ▲ (사진=삼천당제약 제공)[메디컬투데이=유정민 기자] 윤대인 삼천당제약 회장이 보유하고 있던 회사 지분 6.9% 전량을 장녀인 윤은화씨와 사위인 전인석 대표
news.nate.com
어제 나온 뉴스입니다. 삼천당제약 회장인 윤대인 회장이 장녀 및 사위에게 보유 지분 159만9400주(6.82%)를 무상으로 증여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윤 회장은 162만 2400주 중 0.1%만 남기고 6.91%를 증여하여, 보유 주식수가 2만3000주로 줄어들게 됩니다. 총 159만9400주를 증여하는 셈이죠.
하지만 우리는 이 부분을 보고, 증여한다는 것으로 끝내는 것이 아닌 주가가 어떻게 이동할 수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주식을 증여하게 되면 증여세라는 세금을 부과하게 되는데 이것이 얼마 정도 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천당 제약 증여세
삼천당제약 증여세 계산
주식가액 산정 방식
승계용 주식 증여 시에 어떤 식으로 주식가액을 측정하게 될까요?
주식가액은 주식 증여 발표날짜 기준으로 각각 2개월간의 종가를 평균하여 계산한 후, 증여한 주식수를 곱하면 주식가액이 나오게 됩니다. 현재 삼천당제약의 증여 진행일이 7월 24일이라고 하니, 한달 전인 6월 24일 기준으로 잡고 4월 24일 ~ 8월 24일 사이의 종가를 먼저 살펴봐야 합니다.
4월24일 ~ 6월 26일까지 종가표 정리
날짜 | 종가 |
2025-04-24 | 141,000 |
2025-04-25 | 143,200 |
2025-04-28 | 139,000 |
2025-04-29 | 143,700 |
2025-04-30 | 140,700 |
2025-05-02 | 142,000 |
2025-05-07 | 137,900 |
2025-05-08 | 140,900 |
2025-05-09 | 139,500 |
2025-05-12 | 136,400 |
2025-05-13 | 148,000 |
2025-05-14 | 150,000 |
2025-05-15 | 151,000 |
2025-05-16 | 148,000 |
2025-05-19 | 139,300 |
2025-05-20 | 130,900 |
2025-05-21 | 137,600 |
2025-05-22 | 143,200 |
2025-05-23 | 146,500 |
2025-05-26 | 151,800 |
2025-05-27 | 153,800 |
2025-05-28 | 149,300 |
2025-05-29 | 147,100 |
2025-05-30 | 146,500 |
2025-06-02 | 146,000 |
2025-06-04 | 145,200 |
2025-06-05 | 152,100 |
2025-06-09 | 153,700 |
2025-06-10 | 154,800 |
2025-06-11 | 163,900 |
2025-06-12 | 169,000 |
2025-06-13 | 161,400 |
2025-06-16 | 162,000 |
2025-06-17 | 165,500 |
2025-06-18 | 160,500 |
2025-06-19 | 161,200 |
2025-06-20 | 168,600 |
2025-06-23 | 166,400 |
2025-06-24 | 166,600 |
2025-06-25 | 156,500 |
2025-06-26 | 151,900 |
어제 날짜까지의 평균 종가는 150,000원으로 나오게 되네요. 현재까지 나온 종가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1,599,400(증여 주식수) * 150,000(종가 평균주가) = 239,910,000,000원
주식 증여세 세금
주식평가액이 나왔으니 그 다음은 주식 증여에 대한 세금 내용입니다. 가업승계용 중소기업주식은 30억원 한도 내에서는 10%, 30억원 초과분은 20% 특례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으로 보면 30억원 초과되면 50%가 증여세로 세율이 발생되는데, 현재 삼천당제약의 경우는 가업승계용에 해당됩니다.
현재 삼천당제약의 증여 세금을 계산해보면 종가 평균액 기준으로 증여되는 금액이 2,391억원이 주식 평가액으로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 주식 평가액에 따라 시나리오가 2가지가 나오게 되는데요.
시나리오 ① 일반 증여세율 적용 (누진세율)
조건: 가업승계 특례 미적용 시 (중견기업, 요건 미달 등)
계산 절차
항목 | 수치 | 설명 |
증여재산가액 | 2,391억 원 | 주식평가액 전체 |
기본공제 | –0.5억 원 | 직계비속 공제 |
과세표준 | 2,390.5억 원 | 2,391 – 0.5 |
세율 | 50% | 30억 초과분 |
누진공제 | –4.6억 원 | 최고구간 공제 |
증여세 산출
👉 총 증여세 = 약 1,190억 원
시나리오 ② 가업승계 특례세율 적용
조건: 중소기업 + 10년 이상 경영 + 후계자 직접 승계 시
계산 절차
항목 | 수치 |
증여재산가액 | 2,391억 원 |
기본공제 | –0.5억 원 |
과세표준 | 2,390.5억 원 |
세율구간 | ① 30억 × 10% = 3억 ② 2,360.5억 × 20% = 472.1억 |
특례가 해당되지 않는다면 최악의 상황으로는 증여세만으로 1,190억원을 내야 한다는 것입니다.
현금 부족 문제
현재 삼천당제약이 만약에 1,100억원이 넘는 증여세를 내야 한다면 이 정도를 낼 현금이 회사에 존재할까요?
일단 대답은 No입니다.
그 이유는 현재 삼천당제약의 25년 1분기 실적발표에 나온 현금에 대한 내용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삼천당제약은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약 828억원 정도이며, 증여세를 낼 정도로 현금이 그렇게까지 많은 편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증여세를 어떤 식으로 내야 되는지 의구심이 생기실 텐데, 저는 2가지 시나리오로 보고 있습니다.
1. 유상증자를 통한 현금확보
첫 번째로 유상증자를 통한 현금확보입니다. 최악의 증여세 시나리오인 1,190원이 해당된다면 현금성 자산 대비해서 362억원이 모자라는 상황이 되는 것인데, 이 부분을 유상증자를 통해 기존 주식을 소규모 희석하여 500억원 가량을 발행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발행가 125,000원을 가정 시에 약 40만주 정도 되는 분량인데, 발행 비율이 1.7% 정도라 CB(전환사채) 발행보다는 훨씬 희석폭이 적습니다. 현재 주가가 15만원 이상 계속 유지된다면 7월 중순에 유상증자가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겠습니다.
수정판
흠흠...뭐라 할말이 없네요. 제가 증여세 관련되어서 지식이 짧아 전자공시상의 현금으로 말씀을 드렸습니다. 유상증자에 관련된 시나리오는 신빙성이 없으며, 2번 시나리오만 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2. 의도적인 주가 하락을 통한 증여세 절약
두 번째는 의도적으로 주가를 내리는 방법인데, 현재 최근까지도 나오는 뉴스가 S-PASS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들이 자주 보이고 있습니다.
https://pharm.edaily.co.kr/news/read?newsId=02161526642168920
[단독]삼천당 주가 띄운 S-PASS 원천기술, 5년 전 이미 “진보성 없다” 결론
삼천당제약의 성장 모멘텀으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와 함께 핵심 기술로 강조돼 왔던 경구용 플랫폼 ‘S-PASS’ 원천 기술이 특허성을 인정받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동안 회사...
pharm.edaily.co.kr
삼천당 주가 띄운 S-PASS 원천기술, 5년 전 이미 "진보성 없다" 결론과 같은 부정적인 기사들이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팜이데일리 뉴스에서 나오는 삼천당제약 내용이 대부분 부정적인 것은 부정할 수 없지만, 현재 증여와 관련되어서 생각 이상으로 부정적인 언론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삼천당제약측에서는 증여세를 위해서 주가를 낮추는 방향성은 없다고 했지만, 사람 마음으로는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면 줄여보는 것이 사람의 심리인지라, 여기서 더 지속적으로 내려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여기서 평균 주가 5천원만 내려가도 증여세가 40억원이 내려가기 때문이죠. 4월24일 ~ 8월 24일까지 평균가격으로 증여세 기준으로 잡으니 8월 24일 이후로는 S-PASS 건 이슈 등으로 주가가 크게 오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전까지는 지속적으로 관망하는게 제일 맞는 판단이 아닐까 싶습니다.
증여세는 8월24일 이후로 주식이 오르게되면 주식으로 3 ~ 6개월 분할납부로 진행하게 될 겁니다.
주가 전망
만약 평균 주가를 14만원까지 내려오게 한다면 삼천당제약의 주가는 8월 말까지 12만원 후반대까지 다시 떨어질 수 있는 시나리오도 생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는 더 내려올 가능성도 배제를 못하겠네요.
현재 삼천당제약은 이런 복합적인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로써는 삼천당제약이 고점 대비 많이 떨어지긴 했지만 지금 가격에 매수를 진행하는 것은 매우 리스크한 선택이 되는 것이며, 적어도 7~8월달 이후까지는 관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도 또한 8월말까지 관망 후 8월 20일에 매수관점으로 보던지 아니면 조금 더 지켜보던지 해야겠습니다.
* 모든 종목은 매수 매도를 추천드리지 않으며 투자는 본인 책임하에 있습니다.
* DS에서 쓴 글은 모두 제가 공부한 주관적인 내용이 많이 들어간 글입니다.
* 이 글이 유용하셨다면 공감과 구독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